document.onkeypress = getKey;

 

 우리나라 산야초 중 가장 귀한 취급을 받는 산삼이다. 위 사진의 산삼은 2구삼이다. 산삼은 일단 5개의 잎이 단풍잎처럼 펼쳐져서 자라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하지만 오가피도, 가시넝쿨도 5개의 잎이 단풍잎처럼 갈라져나와 잎만 보고 산삼을 구분하기란 쉽지 않다.

 

 산삼인지 구분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하나의 줄기에서 여러개의 잔줄기가 동시다발적으로 갈라져 나오는 것에서 알 수 있다. 2개면 2구, 3개면 3구, 4개면 4구, 5개면 5구(오구오구...) 산삼을 캐서 뇌두를 보기 전에 이렇게 대략적으로 나이를 알 수도 있다. 잔줄기가 많을 수록 나이를 많은 것으로 간주하지만 꼭 그런 것은 아니다. 

 

 산삼인지 구분할 수 있는 또다른 방법은 가운데로 영롱하게 피어나는 꽃과 빨간 열매이다. 위의 삼은 아직 봄이기에 꽃이 피지 않았지만 여름에는 꽃과 열매가 맺힌다. 

 

 

 

 

 산삼과 닮은 산야초 중에 가장 위험한 것은 바로 '천남성'이다. 약초를 잘 보는 사람이야 잘못 볼 일이 없을 정도로 자세히 보면 생김새가 다르다. 하지만 묘하게도 멀찍이서 보면 산삼과 천남성이 비슷한 구석이 있다. 위 사진에는 없지만 빨간색 영롱한 열매의 생김까지 산삼과 천남성이 비슷한 느낌이 있다.

 

 하지만 천남성은 맹독성을 가진 독초이다. 여담으로 장희빈의 사약을 만들때도 함유되었다고 전해지는 유명한 독초이다. 소량을 잘 활용하면 약초로도 쓰인다고 하나 약초고수가 아니고서야 엄두도 내면 안 될 일이다. 

 

 또한 천남성은 성전환을 하는 풀로도 유명하다. 보통 식물은 암수가 딴몸인 것이 있고, 한 몸에 암수가 함께인 것이 있다. 그런데 천남성은 암수딴몸인데 어느 시점에서 성전환을 하는가보다.

 

 

 위 사진의 어린 천남성은 언듯보면 진짜 산삼과 비슷하다. 하지만 자세히보면 산삼과 전혀 딴판이다.

 

 

 

 산삼과 가장 햇갈리는 산야초가 바로 위 사진의 '오가피' 이다. 잎이 다섯개로 갈라져나와 이름도 오가피이다. 하지만 산삼이 다년생 풀이라면, 오가피는 '나무'이다. 오가피와 산삼의 가장 큰 차이는 오가피는 나무답게 줄기가 목질로 되어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여느 나무들 처럼 줄기에서 잔가지가 두서없이 뻗어나온다. 한개의 줄기에서 우산살처럼 동시에 줄기가 퍼져나오는 산삼과는 전혀 딴판이다. 하지만 잎의 생김새만은 산삼과 구분이 거의 가지 않는다.

 

 오가피 역시 술이나 장아찌로 담가먹는 쓰임이 좋은 산야초이다.

 

 

 산마늘은 명이나물로도 불리며 특히 고기요리와 잘 어울리는 산야초이다. 특유의 마늘향기가 좋기 때문이다. 그래서 밭작물로도 많이 재배한다. 또한 산마늘은 블라디보스토크 보다 훨씬 위쪽 지방인 캄차카 일대에서도 잘 자라며 그 곳에서 역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은 음식이다.

 

 

 하지만 산마늘과 비슷한 형태의 독초들이 있어 채취시 매우 주의하여야 한다. 비비추/박새/은방울꽃 등 특히 산마늘과 잎의 형태가 비슷한 산야초가 많다.

 산마늘은 하나의 줄기에서 두개의 잎이 갈라져 나오고 5월에 파꽃과 닮은 형태의 꽃이 피어난다. 또한 잎은 세로줄이 그어져 있으며 살짝 뜯어 향을 맡으면 알싸한 마늘향이 난다. 이 향으로 산마늘인지 구분할 수도 있다.

 

 위 사진에 보이는 것은 산마늘과 닮은 '은방울꽃' 이다. 사실상 외형상 산마늘과 거의 차이가 없어 정말 조심해야 한다. 은방울꽃은 산마늘보다 줄기가 가늘과 잎이 더 단단해 보인다. 하지만 이런 것들로 구분하려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은방울꽃은 꽃이 매우 예뻐서 관상용으로 많이 재배한다. 일단 산마늘과 확연한 차이는 꽃의 생김새이며, 잎을 살짝 뜯어 향을 맡으면 거의 아무 향이 없다. 은방울꽃은 소량만 먹어도 심부전증 등 치명적인 중독증세가 있으므로 정말 주의해야하며, 산야초는 구분을 확실히 지을 수 없다면 절대 야생에서 채취해서는 안 된다.(애초에 내 소유의 사유지가 아닌 곳에서 채취하지 않길 바란다.)

 

 

 여담으로 둥글레는 잎의 형태가 산마늘이나 은방울꽃과 비슷하다. 하지만 둥글레는 잎이 지그재그로 여러개가 나므로 구분하기가 슆고 아래쪽에 옥구슬 같은 꽃이 주렁주렁 열리는 것으로도 구분이 된다. 둥글레는 산에서 매우 흔하게 보이는 산야초이다. 또한 동의보감에는 '황정'이라고도 불리우며, 옛부터 신선들이 즐겨 먹었다고 전해진다. 옛날에 도망을 친 여성노비가 산에 숨어살며 둥글레만 먹어 신선이 되었다는 전실이 있는 산야초이다.

 둥글레는 전분이 많고 독성이 없어 산에서 조난 당했을 때 구황식품으로 먹을 수도 있다. 그냥 생으로 먹을 수도 있고, 생맛에 거부감이 있으면 삶거나 쪄 먹을 수도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