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ument.onkeypress = getKey;

 

 위 사진에 넝쿨식물 줄기에 다닥다닥 달라붙어 있는 녀석들은 '조팝나무진딧물'이다. 이 진딧물들은 5월 엄청난 번식력을 자랑하며, 우르르 나무줄기에 달라붙어 뭍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하지만(무심결에 봤다 정말 트라우마 생길 정도의 징그러움에 충격을 받는다.) 사실상 생태계에서는 최하위 계층의 곤충이다.

 

 진딧물은 거의 방어능력이 없기 때문에 천적 투성이이다. 거의 모든 곤충들의 먹이신세이지만 특히 무당벌레가 이 진딧물을 잘 먹는다. 하지만 진딧물들도 그냥 당하고만 있지 않는다. 이들은 보디가드를 고용하기 때문이다!

 

 

 

 

...(아..사진 징그러...) 이 진딧물들의 보디가드는 바로 개미이다. 그렇다면 무엇을 댓가로 개미들을 보디가드로 고용한 것일까? 바로 배설물이다. 진딧물은 나무진액을 빨아먹으며 당분이 함유된 배설물을 방출한다. 그런데 이 당분이 많은 배설물이 개미들에게는 매력적인 식사가 된다. 그리하여 개미들은 진딧물을 지켜주는 댓가로 이 달콤한 배설물을 얻어가는 것이다.

 

 사실상 개미들의 입장에서 보면 진딧물 농사를 짓는 것이다. 개미는 농사꾼인 것이다. 사실 사람입장에서 소와 돼지를 사육한다고 생각하지만, 소나 돼지입장에서는 사람이 자신들을 온갓 야생의 위협으로부터 지켜주는 것이다. 그 대가로 목숨과 고기를 주지만... 그래도 야생상태 때보다 엄청난 개체수로 번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소나 돼지입장에서는 사람과 일종의 공생관계의 협약을 맺은 것이다. 즉 사람이 자신의 소유물들을 지배하고 있다는 것은 어리석은 환상일 수 있다. 사람은 그저 음식을 얻기 위해 엄청난 노동력과 에너지를 동원하여 가축과 농산물들의 번식과 보호를 도와주는 것이다. 

 

 

 

 

 우리는 흔히 진화론을 이야기하면 '자연선택'과 '적자생존' 만을 이야기한다. 하지만 진화의 과정은 생각보다 엄청 복잡하게 이뤄진다. 이 단순한 법칙만이 자연과 생명의 법칙이 아니다. 기실 공생관계에 의해 진화가 이뤄지는 경우가 매우 많다. 어떤 생물들은 아예 공생관계를 염두해두고 생김새나 형질이 결정되기도 한다. 또한 개미나 진딧물처럼 자신들의 행동양식이 공생관계에 의해 결정지어지며 이로 인해 자신들의 개체수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린 마굴리스, 도리언 세이건의 <생명이란 무엇인가> 라는 책에 '홀라키(Holarchy)라는 용어를 소개한다. 큰 개체 안의 작은 개체들의 공존을 이야기하는 이 단어는 바로 작은 개체들의 공존과 공생이 큰 개체의 균형을 이뤄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자연이란 보다 복잡하고 위대한 방식으로 진화해나간다.



 모든 생명이 푸릇푸릇하게 생명력을 뽐낼 5월 중순, 유독 시들시들하게 죽어가는 듯한 식물들이 있다. 이들은 바로 냉이와 꽃다지이다.

 빨리 씨들어보이는 이들을 보며 안타까운 마음이 일어날 수도 있지만 사실 이것은 이들의 전략이다. 냉이와 꽃다지는 겨울을 나고 어떤 들판의 풀들보다 일찍 꽃을 피운다. 냉이는 심지어 겨울 동안 다 죽어가는 듯한 모습으로 겨울을 버티고 살아있다.

 그 이유는 바로 다른 식물들보다 빨리 씨앗을 퍼트려 번식확률을 높히기 위해서이다. 꽃나무 중에서도 생강나무와 산수유 같이 일찍 꽃을 피우는 나무들이 이와 같은 전략을 채택하는 것이다. 남들보다 일찍 생을 시작하여 조금 빨리 한 계절을 마무리 짓는다. 마치 이들의 생존전략을 보면 생명의 목적은 오로지 번식확률을 높히는데에만 있는 것 같은 생각마저 든다...



다 씨들어가는 꽃다지를 한번 손으로 훓으니 엄청난 양의 씨앗이 나온다. 이 중에서 또 새로운 생명을 틔우는 것들은 정말 극소수일 것이다. 자연은 이처럼 엄청난 경쟁의 현장이기도 하다. 그래서 모든 살아난 생명들은 모두 기적인 것이다.

 냉이도 엄청난 양의 씨앗이 있다. 이렇게 많은 씨앗 중 실제 생명을 틔우는 녀석들은 역시 극소수일 것이다. 우연과 필연, 그리고 자연선택과 적자생존이라는 자연법칙의 이론은 이런 경이로운 번식의 현장을 보면 공감이 간다. 이 많은 씨앗 중 또 엄청난 양의 비율로 변이가 있을 것이며, 생명은 이렇게 진화해나갈 것이다.  생명이 가진 역동성이란 대단한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