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ument.onkeypress = getKey;


 지난번 '송과(고관절의 이완)'의 중요성을 다룬바 있다. 하지만 무릎통증이란 태극권을 수련하는 사람에게 있어 매우 심각하면서도 잘 찾아오는 부작용이기 때문에 이번에는 무릎을 중심으로 한번 더 다뤄보고자한다.

 무릎통증이 생기는 원인은 결론적으로는 쉽게 말해 무릎에 힘을 주기 때문이다. 무릎에 힘을 주는 원인은 다양하다. 전사를 잘못 이해하여 무릎을 돌려버린다든가, 미려를 너무 심하게 감아서 무릎인대에 힘을 준다던가, 몸의 무게중심이 앞으로 쏠려 무릎에 무게가 실린다던가, 몸의 요결을 갖추지 않고 무작정 자세를 낮춰 무릎에 힘이 들어간다던가, 진도를 빨리 나가고 싶어 태극권을 조바심을 가지고 빨리 한다던가 심지어는 수련전에 몸을 충분히 풀어주지 않아 인대가 뻣뻣하다던가... 여하튼 태극권을 열심히 수련하는 사람들은 대게 위의 경우를 겪어보았을 것이다.

 하지만 위의 모든 것은 잘못된 것이다. 위의 모든 행위들은 무릎에 힘을 준다. 무릎이 아픈 이유는 관절이 비틀린다던가, 무릎인대에 힘이 들어가는 두가지 이유밖에 없다. 왜냐하면 무릎이라는 기관 자체가 관절, 연골, 인대로만 이루어져있기 때문이다. 관절이 비틀려 연골이 달아버린다든지, 인대에 무리한 힘이 들어가서 무리를 할 경우 무릎이 아픈 것이다. 무릎에는 근육이 없다. 한마디로 무릎은 힘을 쓰는 기관이 아니며 무릎에 힘이 들어가는 것은 부자연스러운 동작인 것이다.

 그렇다면 무릎에 힘이 들어가지 않기 위해서는 어떻게해야 하는가? 일단 가장 중요한 것은 고관절을 이완하는 것이다. 고관절이 충분히 이완하면 자세를 낮추거나 높히거나, 전사를 하며 척추를 회전하더라도 그 모든 동작이 고관절의 운동 범위 안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무릎에 힘이 전달되거나 돌아가는 일이 없다. 무릎 이하의 하체는 단단한 나무의 뿌리처럼 박혀있을 뿐이다. 수련전에는 필히 고관절을 충분히 풀어주는 체조와 스트레칭을 해주어야한다.

 또한 상체의 이완된 힘은 무릎이 아닌 허벅지에 실려야한다. 윗허벅지와 단전에 힘을 집중시키기 위해 '미려중정'을 하는 것이다. 꼬리뼈를 늘쿠거나 살짝 감으면 힘의 중심이 윗허벅지와 단전에 실린다. 하지만 이 경우 매우 조심해야 하는 것이 있다. 꼬리뼈를 너무 심각하게 말아버리면 오히려 고관절과 무릎인대가 경직된다. 꼬리뼈를 감을 때는 나의 고관절과 무릎인대가 충분히 부드럽게 이완되어 있는지 동시에 살펴야한다.

 무릎에 힘이 들어가지 않기 위해서는 또한 가장 중요하며 기초적인 것이 몸의 무게중심이 앞으로 쏠리면 안된다는 것이다. 보통 무릎이 발가락끝을 넘어서면 안된다는 말이 이것이다. 더 정확하게는 발바닥에 무게가 실리는 비율을 잘 살펴야하는데 태극권에서는 발바닥 전체에 무게가 고르게 실리고, 발가락은 움켜쥔듯 하여 용천이 텅 빈 느낌이 들어야한다고 이야기한다.  무게중심을 너무 뒤로 빼면 몸이 뒤로 넘어가고 너무 앞으로 실어면 무릎에 힘이 들어간다. 그 묘한 중심을 맞추는 것은 결국 개개인이 수련을 하며 몸을 섬세하게 관찰하여 그 중심을 잡는 것 뿐이다.

 무릎에 힘이 안들어가는 네번째 요령은 전사경에 대한 올바른 이해이다. 전사경은 힘을 집약시키는 것이다. 절대 몸을 출렁출렁 돌리는 것이 아니다. 송이 몸의 힘을 해방하는 요령이라면, 전사는 몸을 수축하고 통합하는 요령이다. 몸을 수축하고 통합하는데 몸이 출렁거릴 이유가 없다. 특히 무협영화에서 태극권을 묘사할 때 몸이 출렁출렁 회전을 하는데 이것은 매우 잘못된 것이다. 전사경이 무르익을수록 몸은 오히려 매우 단순해보인다. 실제로 노사님들의 태극권시연모습을 보면 거의 외적으로는 전사경이 느껴지지 않는데 이는 그분들께서 연세가 있어 몸이 둔해진 것이 아니라 오히려 효과적으로 전사가 작아진 것이다.  진정한 전사경은 전사경 같아 보이지 않는다.

 무릎통증을 예방하는 다섯번째 요령은 이완에 대한 바른 이해이다. 흔히 무극장을 할 때 몸을 이완하라하면 힘을  빼며 하체를 우그러뜨린다. 몸이 이완하면 침(가라앉는 힘)력이 강해진다. 그래서 몸이 묵직해져 단단히 뿌리박힌 나무 같아지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엄연히 말하면 힘을 빼어 몸이 우그러지는 것이 아니라 사방팔방으로 몸이 펼쳐지는 것이다. 그래야 침력과 동시에 몸이 영활해져서 가라앉음과 동시에 날렵한 동작이 가능해진다. 여하튼 몸을 우그러뜨리면 무릎과 관절에 무리만 줄 뿐이다.

 다시 결론을 말하자면 무릎통증이 일아나는 이유는 무릎에 힘을 주기 때문이다. 어떤 동작을 하더라도 무릎에 힘이 들어가면 안되기에 투로를 할 때는 필히 무릎을 살펴 힘이 들어가는지 섬세하게 관찰해야한다.


 태극권을 잘못된 자세로 수련하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겪는 부작용이 무릎통증이다. 무릎통증에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지만 이 글에서는 송과(고관절의 이완)이 태극권의 바른 자세를 구축하는데 얼마나 중요한지 이야기하고자한다.

 나의 경우 무릎통증의 부작용을 겪었던 가장 큰 원인은 온 몸의 송(이완)에는 신경을 쓰면서 정작 과(고관절)를 송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원인 외에도 투로를 무리하게 빨리 한다던가, 무릎을 발끝보다 앞으로 뺀다던가, 올바른 자세를 갖추지 않고 자세를 너무 낮춘다던가, 전사경을 잘못 오해해서 다리와 무릎을 절구처럼 돌려버리는 등 다양한 무릅통증의 원인이 있다. 하지만 나의 경우 특별히 자세를 무리해서 낮추지도 않았고 무릎이 발끝을 넘어서지도 않았다. 게다가 무릎을 무슨 절구처럼 돌리는 투로들을 보면서는 아예 혀를 쯧쯧 찻었기 때문에 무릎을 심하게 돌리지도 않았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태극권을 하고나면 무릎이 아픈 것이었다. 한때는 태극권을 하면 무릎이 아플 수 밖에 없는 것이구나... 하며 말도 안되는 오해까지도 한 적이 있다. 하지만 이제는 분명히 말할 수 있다. 태극권을 요결을 갖춰 올바르게 수련하면 무릎은 안 아프다.

 여러가지 증거로 위의 사진에 있는 진가태극권의 장문인 진소성 노사님만 봐도 알 수 있다. 상당한 연세가 있으신데도 하체의 자세가 상당히 짱짱하고 진각이나 여러 동작들을 무리없이 해내신다. 만약 이런 동작이 무릎에 무리를 준다면 과연 이 연세까지 태극권을 이 정도 공력으로 구현할 수 있을까? 진소성 노사님의 사례만봐도 명확하게 알 수 있는 사실이다.



 태극권에는 '미려중정' 이라는 요결이 있다. 허리에 힘을 빼고 꼬리뼈를 감음으로써 허리에서 힘을 발생시켜 무리를 주는 부작용을 방지하고 발바닥에서 형성된 힘이 윗허벅지를 거쳐 허리를 '통로'로 하여 타격지점으로 원할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중요한 요결이다. 미려중정을 이룰 때 효과적으로 하체의 힘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 미려중정은 태극권 뿐만 아니라 씨름, 스모, 레슬링 등 다수의 유술 스포츠를 볼 때도 하나 같이 지키는 것이다.

 그런데 이 미려중정을 잘못 오해하여 꼬리뼈를 힘을 주어 무리하게 감다보니 고관절이 항상 긴장된 상태로 투로를 하였던 것이다. 태극권에서 꼬리뼈는 감는다기 보다는 떨어뜨려 주는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편하게 떨어트리다보면 어느 순간 회음으로 감겨들어가 단전으로 기운이 들어가는 느낌을 얻게 된다. 중요한 것은 꼬리뼈를 감음으로써 이완되어 떨어지는 상체의 무게가 윗허벅지로 받쳐지게 되고 허리와 명문은 편하게 이완되어 시원한 느낌을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와중에 고관절 인대에 힘을 줘버리면 상당히 경직된 상태로 투로를 하게 되며 하체와 상체 간의 힘이 소통하지 못한다. 그리고 소통하지 못하는 힘은 고스란히 무릎 등 다양한 곳에 무리를 주게 된다.

 꼬리뼈를 내리고 감으면서도 송과가 분명히 되어야한다. 송과가 되어야 마치 몸이 유연하고 탄력있는 스프링 같이 된다. 그리하여 튕겨오르는 반탄력을 활용하여 큰 파워를 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전에는 고관절이 경직되어 상당히 높은 자세로 수련을 하였음에도 어딘과 하체와 상체가 단절된 느낌이 있었다면 지금은 예전보다 낮은 자세로 수련을 하지만 무릎통증이 전혀 없다. 고관절이 효과적으로 상체와 하체 간의 통로와 스프링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