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ument.onkeypress = getKey;

 

 많은 사람들이 잘 알아보는 더덕이다. 더덕은 네개의 잎이 단정하게 자라있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또한 향이 독특하여 후각이 예민한 사람들은 더덕 주변에 있으면 냄새로 알아차리기도 한다. 거대한 더덕은 거의 무만하기도 한데, 위 사진의 더덕은 아마 엄지손가락 굵기의 어린 개체일 것이다.

 

 

 

 

 이 덩굴식물이 더덕과 참 유사하게 생겼다. 하지만 더덕보다 잎이 뾰족하고 예쁘장하다. 그리고 네개의 잎사귀 중앙으로 꽃대가 올라오는 것으로 쉽게 더덕과 구분이 가는데, 더덕으로 착각하여 막상 캔다하여도 뿌리가 전혀 딴판이라 더덕으로 헷갈릴 이유는 없다.

 

 

 

 

잔대 역시 더덕과 더불어 많은 사람들이 알아보고 잘 캐내는 뿌리약초이다. 줄기와 잎의 특징으로는 하나의 고고한 줄기에서 동시에 네개의 잎이 십자모양으로 나오고 또 쭉 줄기만 올라가다 네개의 잎이 십자모양으로 난다는 것이다. 하여 굉장히 단정하게 생겼기 때문에 눈에 금방 띈다.

 

 여성분들에게는 산삼보다 좋다고 하기도하고, 먹을 것이 귀했던 옛날에는 더덕과 더불어 서민들이 산에서 즐겨 캐먹는 뿌리식물이기도했다.

 

 멸가치 역시 산에서 쉽게 발견되는 식물이다. 약간 서덜취 같은 잎사귀에 줄기에 날개가 자라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잎을 뒤집어보면 은빛갈이 난다. 맛은 특별히 없고 나물로 만들어 먹기 좋다. 또한 이뇨, 진정작용이 있다고한다.

 

 

 

 

 박쥐나물을 닮은 가시박은 왜래식물로써 생태교란종이다. 산 속에도 많이 퍼져있다. 잎이 뭔가 먹을 수 있을 것 같이 생겼지만, 아직 이것으로 요리를 한 사례는 없다. 열매가 열리면 가시가 많이 나서 이름 그대로 가시박인 것이다.

 

 

 

 

 

 

 진범은 마치 병풍나물처럼(방풍나물 아니고...) 넓적한 잎에 웬지 쌈싸먹으면 맛있을 것 같은 유혹이 드는 풀이지만 독성이 있어 먹으면 큰일난다. 약초전문가들은 약성을 잘 우러내어 탕약의 재료로 쓴다지만 절대 비전문가들이 엄두낼 것이 아니다.

 

 

 

 진범의 특징은 어린 개체일수록 잎에 연녹색의 반점이 있다는 것이다. 큰 개체일수록 그 반점이 옅어져서 특징이 사라지므로 조심해야한다.

 

 독특한 향과 맛으로 많은 사랑을 받는 곰취는 정말 닮은 독초들이 많다. 독초는 아니지만 머위 또한 잘 헷갈리는 산야초이다. 하지만 조금만 주의 깊게 보면 그 차이를 쉽게 알 수 있다. 곰취는 일단 위 사진에서 보듯 둥그런 잎에 톱니바퀴처럼 전체적으로 끝이 우둘투둘하다. 하지만 머위의 경우 줄기와 이어지는 끝 부분이 다르다.

 

 

 

 머위는 줄기와 이어지는 끝 부분이 V형태로 매끈하다. 뭔가 로보트 같이 생겼다. 머위 또한 식용으로 많이 쓰이는 산야초이다. 하지만 곰취에 비해 맛이 매우 쓰기 때문에 데쳐서 나물이나 장아찌로 먹는다.

 

 곰취는 응달진 곳에서 잘 자라며 요즘에는 재배도 많이 한다. 머위는 주로 응달지며 연못처럼 습지에서 잘 자라는 편이다.

 

 

 

산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산야초 중 하나인 취나물이다. 특유의 향이 좋아 생으로 뜯어 쌈을 싸먹거나 데쳐서 나물을 해먹기도하고, 수리취로는 떡을 만들어 먹기도 하는 우리에게 친숙하고 고마운 산야초이다. 등산을 할 때 밥에 쌈장, 그리고 참치통조림만 가져가 취를 조금 뜯어다 쌈을 싸먹으면 산에서는 이 만한 진수성찬이 없을 정도이다.

 

 

 

 하지만 이 고마운 취나물은 생각보다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그 이유인즉 취나물 같이 생긴 풀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타원형의 진녹색이 나며 주변에 톱니가 있는 이런 생김의 산야초가 너무 많다. 즉, 취나물은 너무 개성이 없게 생겼다.

 

 

 

 위 사진의 어린 취를 보라. 그리고 아래 사진의 풀을 보라.

 

 

 

 

 정말 별 차이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 둘은 엄연히 다른 풀이다. 취랑 닮은 이 풀은 독성까지 있기 때문에 잘못 먹으면 여간 고생이 아니다. 특히 어린 상태에서는 구분이 안 가지만 그나마 조금 커서는 확연한 차이를 보이니 조금은 안심이 된다.

 

 

 

 이 풀도 잎만 봐서는 도무지 취나물과 구분이 가지 않는다. 하지만 취나물과의 결정적인 차이는 취나물은 첫 번째 사진에서 보듯 조금 커서는 하나의 굵은 줄기에서 잎이 갈라져 나온다. 하지만 위의 취나물과 닮은 풀들은 땅에서 바로 잎들이 갈라져 독립적으로 나와 보인다. 일단 줄기의 생김에서 구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취나물은 의외로 구분이 쉽지 않은 풀이니 주의 하여야 한다. 또한 취나물은 수리취, 취, 곰취 등 다양한 종류가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랑을 받음에도 쉬 구분이 가지 않는 어려운 산야초이다. 물론 제대로 된 취나물을 채취하여 한 번 먹어보면 그 특유의 향과 맛 때문에 다음부터는 헷갈릴 이유 없이 그 미묘한 차이를 금새 알아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