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ument.onkeypress = getKey;

 

 파탄잘리 요가수트라 2장 수행의 장에서 역시 요가와 참나에 대한 훌륭한 설명을 하고 있다. 

 

고행을 하고, 자신을 성찰하며, 경전을 공부하고, 신에게 헌신하는 것이 행동의 요가이다.

행동의 요가의 수행 실천은 고통을 줄이고 삼매로 이끄는 것이다.

고통의 원인은 다섯 가지가 있는데 영적인 무지, 나라고 하는 에고 의식, 집착하는 마음, 증오심, 애착 등이다.

=> 불교에서 말하는 고통의 원인인 '탐진치'와 거의 비슷한 말이다. 불교는 독자적인 이론을 이야기한 것이 아니라 당시 힌교문화 전반의 쟁점인 '열반'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다만 부처의 위대함은 열반을 이야기함에 있어 우파니샤드에 기반한 복잡한 이론을 단순화하고, 계급을 타파하였으며, 요상한 도술이나 환상에 심취한 수행자들을 비판한데 있다. 부처는 오로지 검증할 수 있는 진실만을 이야기했다.

 

무지는 모든 고통의 원인이다. 그것들이 잠자고 있든지, 힘이 약화되어 잇든지, 멈추어져 있든지, 완전히 활성화되어 있든지 무지라는 밭에 존재한다.

영원하지 않는 것을 영원한 것으로, 비순수한 것을 순수한 것으로, 고통을 즐거움으로, 참나가 아닌 것을 참나로 아는 것은 무지이며, 영적인 지혜가 막힌 것이다.

에고 의식이란 바라보는 대상을 바라보는 자가 그릇되게 동일화하여 일어난다.

=> '에고의식'이란 끊임없이 변화하는 대상이므로 진정한 나의 본성(참나)가 아니다. 하지만 에고의식이 '진정한 나'와 동일시하는데서 고통의 원인이 시작된다.

 

집착은 즐거움이라는 경허모가 동일화함으로써 일어난다.

증오는 괴로운 고토오가 동일하게 생각함으로써 일어난다.

삶의 집착은 수많은 잠재된 경험에 의해 생기며, 그것은 무지한 사람뿐만 아니라 현명한 이에게도 있다.

이러한 고통은 생각이 섬세할 때 약화된다. 

고통의 작용인 생각의 움직임은 명상을 통해 고요함으로 들어간다.

=> 끊임없이 요동치는 생각을 명상을 통해 고요히 함으로써 '진정한 본성(참나)'이 드러날 수 있다.

 

 파탄잘리 요가수트라를 설명하는 첫번째 글에서도 이야기하였지만 요가의 목적은 끊임없이 부질없이 변화하는 나의 '탐진치'와 '에고의식'으로부터 동일시된 '나'를 객관화함으로써, 즉 참나의 객관적 관점을 얻어냄으로써 마음을 통제하고 고통의 소멸을 가져오는 것이다. 이를 위한 수단으로 요가를 하는 것이고, 요가를 통해 명상의 상태에 진입하는 것이다. 명상을 통해 참나를 체험하고 고통의 소멸을 가져옴으로써 고통으로부터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것이다. 요가와 명상은 이 이외의 목적은 없다! 이 이외의 어떠한 삿된 망상이나 환영에 속지 말라.

 참고로 위의 요가수트라의 내용을 참고한 저서는 '박지명, 이서경 주해' <요가수트라>입니다. 제가 블로그에서 소개한 내용은 정말 이 책의 빙산의 일각일 뿐입니다. 이 외에 많은 내용이 있으므로 꼭 구매해서 요가수트라 전체를 꼼꼼히 읽고 공부해주길 바랍니다. 그 정도의 투자와 노력은 있어야 공부를 성취할 수 있는 법입니다. (저는 이 책의 저자와 아무런 관련도 없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