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ument.onkeypress = getKey;

 

 파탄잘리 요가수트라 2장 수행의 장에서 역시 요가와 참나에 대한 훌륭한 설명을 하고 있다. 

 

고행을 하고, 자신을 성찰하며, 경전을 공부하고, 신에게 헌신하는 것이 행동의 요가이다.

행동의 요가의 수행 실천은 고통을 줄이고 삼매로 이끄는 것이다.

고통의 원인은 다섯 가지가 있는데 영적인 무지, 나라고 하는 에고 의식, 집착하는 마음, 증오심, 애착 등이다.

=> 불교에서 말하는 고통의 원인인 '탐진치'와 거의 비슷한 말이다. 불교는 독자적인 이론을 이야기한 것이 아니라 당시 힌교문화 전반의 쟁점인 '열반'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다만 부처의 위대함은 열반을 이야기함에 있어 우파니샤드에 기반한 복잡한 이론을 단순화하고, 계급을 타파하였으며, 요상한 도술이나 환상에 심취한 수행자들을 비판한데 있다. 부처는 오로지 검증할 수 있는 진실만을 이야기했다.

 

무지는 모든 고통의 원인이다. 그것들이 잠자고 있든지, 힘이 약화되어 잇든지, 멈추어져 있든지, 완전히 활성화되어 있든지 무지라는 밭에 존재한다.

영원하지 않는 것을 영원한 것으로, 비순수한 것을 순수한 것으로, 고통을 즐거움으로, 참나가 아닌 것을 참나로 아는 것은 무지이며, 영적인 지혜가 막힌 것이다.

에고 의식이란 바라보는 대상을 바라보는 자가 그릇되게 동일화하여 일어난다.

=> '에고의식'이란 끊임없이 변화하는 대상이므로 진정한 나의 본성(참나)가 아니다. 하지만 에고의식이 '진정한 나'와 동일시하는데서 고통의 원인이 시작된다.

 

집착은 즐거움이라는 경허모가 동일화함으로써 일어난다.

증오는 괴로운 고토오가 동일하게 생각함으로써 일어난다.

삶의 집착은 수많은 잠재된 경험에 의해 생기며, 그것은 무지한 사람뿐만 아니라 현명한 이에게도 있다.

이러한 고통은 생각이 섬세할 때 약화된다. 

고통의 작용인 생각의 움직임은 명상을 통해 고요함으로 들어간다.

=> 끊임없이 요동치는 생각을 명상을 통해 고요히 함으로써 '진정한 본성(참나)'이 드러날 수 있다.

 

 파탄잘리 요가수트라를 설명하는 첫번째 글에서도 이야기하였지만 요가의 목적은 끊임없이 부질없이 변화하는 나의 '탐진치'와 '에고의식'으로부터 동일시된 '나'를 객관화함으로써, 즉 참나의 객관적 관점을 얻어냄으로써 마음을 통제하고 고통의 소멸을 가져오는 것이다. 이를 위한 수단으로 요가를 하는 것이고, 요가를 통해 명상의 상태에 진입하는 것이다. 명상을 통해 참나를 체험하고 고통의 소멸을 가져옴으로써 고통으로부터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것이다. 요가와 명상은 이 이외의 목적은 없다! 이 이외의 어떠한 삿된 망상이나 환영에 속지 말라.

 참고로 위의 요가수트라의 내용을 참고한 저서는 '박지명, 이서경 주해' <요가수트라>입니다. 제가 블로그에서 소개한 내용은 정말 이 책의 빙산의 일각일 뿐입니다. 이 외에 많은 내용이 있으므로 꼭 구매해서 요가수트라 전체를 꼼꼼히 읽고 공부해주길 바랍니다. 그 정도의 투자와 노력은 있어야 공부를 성취할 수 있는 법입니다. (저는 이 책의 저자와 아무런 관련도 없습니다.)

 

 파탄잘리는 기원전 2,3세기에서 기원후 1~5세기까지 어느 시대에 살았는지 불분명한 인물이다. 마치 노자나 달마와 같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인 <요가수트라>는 요가의 원리를 아주 일목요연하게 집대성하고 있다. 파탄잘리의 설명에 의하면 '요가 yoga'란 '마음의 상태를 통제하는 것'이다. 또한 여러 어원 중 하나는 '힘쓰다'의 뜻도 담겨있다. 유목민 계통의 아리아인이 잠시의 정착을 위해 '이동하는 기간'은 매우 고된 것이었고 이 기간에 힘쓰는 것을 요가라고 했다는 어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수트라'는 한자로 '경전'이라는 뜻이다. 한마디로 <요가수트라>는 요가에 대한 경전이다.

 

 그의 저서 <요가수트라>에서 요가에 대해 매우 잘 설명하고 있다.

지금부터 요가의 가르침이 시작된다.

요가는 마음의 상태를 통제하는 것이다.

그래서 보는 자는 그의 진정한 본성 안에 살고 있다.

=>내면의 영성(혹은 참나)을 통해 삿된 마음의 상태를 통제하는 것이다. 

 

요가의 상태가 아닌 다른 상태는 상념과 동일화된다.

상념의 움직임에는 다섯 가지 종류가 있으며, 고통을 일구어내는 것과 고통을 일구어내지 않는 것이 있다.

그것은 올바른 지식, 잘못된 지식, 환영, 잠, 기억에 기인한다.

올바른 지식은 직접적으로 인식되는 것이며, 추론되며 전승된 것이다.

실재가 아닌 지식은 없는 것이며, 자신의 본성이 아니다.

언어의 착각은 말이 실재와 일치하지 않을 때 일어난다.

잠은 마음의 작용을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기억은 인식한 대상을 잊지 않고 다시 경험하는 것이다.

다섯 가지 마음의 상태는 무집착의 반복적인 실천을 통해 통제된다.

=> 진정한 본성에 의해 마음이 온전히 통제된 상태가 아닌 다섯 가지 마음의 상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 마음의 상태를 무집착의 반복적인 실천을 통해 통제하는 것이 요가이다.

 

수행의 실천은 계속되는 집중을 통해 확고해진다. 

수행의 실천은 헌신의 마음으로 끊이지 않고 오랜 기간 했을 때 확고하게 자리잡는다.

무집착은 최상의 의식, 즉 보고 듣는 데서 생기는 욕망으로부터의 자유를 의미한다.

=> 여기까지가 요가수트라의 초반부이며, 요가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하고 있는 것이다. 다음장부터는 마음이 통제된 다양한 상태(유상삼매, 무상삼매)에 대한 세밀한 설명과 명상, 초능력, 해탈 등 다양한 상태에 대한 이야기들이 지속된다.

 

 현대인들은 요가를 많이 한다. 물론 미용, 운동 등의 목적이 주요하겠지만 요가의 본래적인 목적을 올바르게 알 필요가 있다. 마음의 온전한 통제를 통해 평화와 고요한 열반에 도달하는 것이다. 요가의 방법론이 꼭 몸을 스트레칭하고 어려운 동작들을 완성하는데 있는 것이 아니다. 이는 마음의 상태를 통제하기 위한 많은 방법론 중 하나이다. 요가에는 신에 대한 헌신과 기도, 학문을 탐구하는 것, 사회생활에서 봉사하는 것 등 다양한 종류의 요가가 있다. 결국 요지는 이 다양한 방법론들을 통해 '마음의 상태를 통제하는 것' 이다.

 또한 요가에 이상하게 심취한 사람들 중에는 쿤달리니가 어쩌구, 차크라와 제 3의 눈이 각성하면 몸에 어떤 반응과 감각이 오고... 등등 이런 것들에 집착하고, 마치 이런 감각을 얻어내면 무언가 비범한 깨달음이나 성취를 얻어낸 것처럼 허세를 부리고 다니는 사람들이 있따. 이 역시 매우 잘못된 수행자의 태도이다. 그런 감각에 취한 것이 마약에 취한 것과 무엇이 다른가? 그런 감각을 얻음으로써 구체적인 초능력이 생겼나? 차라리 진짜 초능력이 생겼다면 엄청난 성취를 한 것이다. 하지만 초능력이라도 생긴것처럼 말하고 다니는 사람치고 실제로 보여주며 증명하는 사람이 한명도 없다. 전생을 볼 줄 안다느니, 미래를 볼 줄 안다느니, 유체이탈을 할 줄 안다느니.... 어차피 남에게 증명되지도 않는 것을 한다고 말한다. 한심할 뿐이다.

 요가의 궁극적인 목적은 '마음의 평화, 즉 고통이 소멸된 상태인 열반에 도달하는 것' 이다. 하여 진정으로 실존적이고 건강하며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것이다. 그 외에 온갓 삿된 견해를 말하고 다니는 사람들을 절대 믿지 않길 바린다. 파탄잘리 요가수트라 어디를 눈씻고 찾아봐도 그런 삿된 견해에 집착하라는 말은 나와있지 않다. 오히려 그런 잘못된 인식과 감각작용으로부터 집착을 내려놓는 훈련을 하며 자신의 진정한 본성을 만나라고 말할 뿐이다. 이것이 파탄잘리 요가수트라의 메세지이다.

 

 참고로 위의 요가수트라의 내용을 참고한 저서는 '박지명, 이서경 주해' <요가수트라>입니다. 제가 블로그에서 소개한 내용은 정말 이 책의 빙산의 일각일 뿐입니다. 이 외에 많은 내용이 있으므로 꼭 구매해서 요가수트라 전체를 꼼꼼히 읽고 공부해주길 바랍니다. 그 정도의 투자와 노력은 있어야 공부를 성취할 수 있는 법입니다. (저는 이 책의 저자와 아무런 관련도 없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