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ument.onkeypress = getKey;



 6월초 즈음에 보랏빛 꽃을 피우는 꽃 중에는 바로 이 '엉겅퀴'가 있다. 엉겅퀴는 꽃을 피우기 전에도 상당히 눈에 띄는 식물 중 하나인데 바로 가시투성이의 잎과 줄기 때문이다. 굉장히 심술궂은 생김새를 하고 있다.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엉겅퀴는 '고려 엉겅퀴(곤드레)' 와는 다르다. 우리가 흔히 곤드레만드레~ 데쳐서 곤드레밥으로 먹는  고려엉겅퀴는 가시가 없고 잎이 넓적하다. 이 엉겅퀴가 고려엉겅퀴인줄 알고 함부로 데쳐먹다가는 큰 코 다치는 수가 있다. 어린 순은 데쳐먹을 수 있다지만 가시가 드세지면 당연히 건조하여 차로 우려마시거나, 분말이나 효소로 복용하는 것이 현명하리라...



 생존능력이 뛰어나 줄기를 잘라도 뿌리만 잘 살아있으면 다시금 줄기를 친다. 여러해살이풀로 뿌리가 땅 속에서 겨울을 나 이듬해 다시 피어난다. 지혈작용이 뛰어나고 간에 좋은 실리마린이 풍부하여 간염, 간질환에 좋아 건조하여 차, 분말, 효소로 복용할 수 있다.


이렇게 들판에 사악한 모습?으로 듬성듬성 무리지어 자라는 엉겅퀴는 정말 눈에 띈다. 간혹 아래 사진처럼 하나의 개체가 엄청난 크기로 헐크처럼 자라나는 경우가 있는데 정말 악마의 가시넝쿨이나 성 같은 생김새이다.


 엉겅퀴는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을 잘 선택한 식물이라는 생각이 든다. 가시투성이의 심술궂은 못난이 같지만 볼수록 매력있고 귀염성 있는 식물이기도하다. 강인한 생명력으로 매년 그 자리에서 이듬해에도 반갑게 만날 수 있는 볼수록 매력인 식물이다. 또한 그 꽃은 얼마나 아름다운 보랏빛인가! 아무리 못난이라도 쑥쓰럽게 자신이 가진 아름다움을 드러내는 것만 같은 작은 보랏빛 꽃도 볼수록 매력적이다.

바디나물 잎

 

 산야초 중에서도 비슷비슷하여 구분하기 힘든 것이 바디나물, 당귀 종류이다. 참당귀, 개당귀, 지리강활, 바디나물... 이름도 비슷하고 생김새도 비슷하여 햇갈리기 쉽다. 참당귀와 바디나물은 독성이 없고 많이 쓰이는 약초이지만 개당귀나 지리강활은 매우 조심히 다뤄야한다.

 

 바다나물은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산형과'란 뜻은 당귀, 구릿대, 방풍나물처럼 줄기에서 뻗은 잎들을 전체적으로보면 마치 산처럼 세모모양이라는 뜻이고, '여러해살이풀' 이란 한해가 아닌 여러해를 나며 살아가는 풀이라는 뜻이다. 또한 국화군 미나리목 미나리과 당귀속의 바디나물이다. 

 

 주로 계곡이나 습지의 응달진 곳에서 서식한다. 생김새는 당귀와 정말 흡사하며, 자주색꽃이 피는 것까지 닮아있다. 하지만 당귀에 비해 잎의 생김새가 더 굵고 장대하다. 마치 옛날 전쟁무기인 '과(갈퀴가 달린 창)'를 연상케하는 균일하고 준수한 생김새를 가졌다. 이에 비해 당귀는 보다 왜소하고 갈라짐이 많다. 또한 개당귀는 당귀보다 더 왜소한 느낌이다.

당귀의 경우 줄기와 꽃이 자주빛이며, 개당귀의 경우 잎이 갈리지는 마디의 점이 자줏빛이다.

 

 

 

 

 바디나물은 독성이 없고 봄에 피는 잎은 나물로 무치거나 장아찌로 담가 먹기도한다. 성숙한 잎은 차로 내려 마시거나, 효소로 담글 수 있다.

 

 효능으로는 기를 보강해주고 가라앉혀준다. 또한 감기 등에 효능이 있다. 한때는 연삼이라하여 인삼 못지 않은 효능으로 온갓 몸에 좋은 것을 다 갖다 붙혔지만 이는 정확하지는 않다. 

 

 5월의 정원에 피는 꽃 중에 가장 화려하고 눈에 띄는 꽃이 바로 작약이다. 마치 연꽃을 연상시키는 입체적이고 화려한 색깔로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하여 모란과 더불어 중국에서는 꽃 중의 으뜸으로 쳤었다. 하지만 작약은 생김새가 매우 화려함에도 향기가 전혀 없는 것이 매우 특이하다. 그래서 그런지 꽃말도 <부끄러움>이다. 

 

 모란과는 비슷하지만 여러가지로 차이를 보이는데, 모란은 겨울을 나고 향기 또한 있다. 하지만 작약은 겨울을 나지 못하고 향기가 없다. 작약의 경우 정원의 지나치게 양지바른 곳에 심어버리면 햇빛을 견디지 못한다. 약간 응달진 곳에 심어야 잘 자라는 꽃이다.

 

 작약은 범의귀목 작약과 작약속이다. 이국적인 생김새데로 중앙아시아, 유럽을 원산지로 하는 다년생 식물이다. 모종이 비교적 비싼 편이며 잘 키워서 쪼개어 나눠심기를 하며 증식시켜주면 된다. 하지만 위아래 사진처럼 무성한 작약꽃밭을 만드려면 다년간 정성을 들여야 가능하다.

 

 

 

 잎의 생김새는 마치 당귀와도 닮았으며 뿌리는 약재로 활용할 수 있다. 주로 진통, 소염, 진정작용이 있으며 부인병에도 특효가 있다고한다. 

 

 독특한 향과 맛으로 많은 사랑을 받는 곰취는 정말 닮은 독초들이 많다. 독초는 아니지만 머위 또한 잘 헷갈리는 산야초이다. 하지만 조금만 주의 깊게 보면 그 차이를 쉽게 알 수 있다. 곰취는 일단 위 사진에서 보듯 둥그런 잎에 톱니바퀴처럼 전체적으로 끝이 우둘투둘하다. 하지만 머위의 경우 줄기와 이어지는 끝 부분이 다르다.

 

 

 

 머위는 줄기와 이어지는 끝 부분이 V형태로 매끈하다. 뭔가 로보트 같이 생겼다. 머위 또한 식용으로 많이 쓰이는 산야초이다. 하지만 곰취에 비해 맛이 매우 쓰기 때문에 데쳐서 나물이나 장아찌로 먹는다.

 

 곰취는 응달진 곳에서 잘 자라며 요즘에는 재배도 많이 한다. 머위는 주로 응달지며 연못처럼 습지에서 잘 자라는 편이다.

 

 우리나라 산야초 중 가장 귀한 취급을 받는 산삼이다. 위 사진의 산삼은 2구삼이다. 산삼은 일단 5개의 잎이 단풍잎처럼 펼쳐져서 자라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하지만 오가피도, 가시넝쿨도 5개의 잎이 단풍잎처럼 갈라져나와 잎만 보고 산삼을 구분하기란 쉽지 않다.

 

 산삼인지 구분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하나의 줄기에서 여러개의 잔줄기가 동시다발적으로 갈라져 나오는 것에서 알 수 있다. 2개면 2구, 3개면 3구, 4개면 4구, 5개면 5구(오구오구...) 산삼을 캐서 뇌두를 보기 전에 이렇게 대략적으로 나이를 알 수도 있다. 잔줄기가 많을 수록 나이를 많은 것으로 간주하지만 꼭 그런 것은 아니다. 

 

 산삼인지 구분할 수 있는 또다른 방법은 가운데로 영롱하게 피어나는 꽃과 빨간 열매이다. 위의 삼은 아직 봄이기에 꽃이 피지 않았지만 여름에는 꽃과 열매가 맺힌다. 

 

 

 

 

 산삼과 닮은 산야초 중에 가장 위험한 것은 바로 '천남성'이다. 약초를 잘 보는 사람이야 잘못 볼 일이 없을 정도로 자세히 보면 생김새가 다르다. 하지만 묘하게도 멀찍이서 보면 산삼과 천남성이 비슷한 구석이 있다. 위 사진에는 없지만 빨간색 영롱한 열매의 생김까지 산삼과 천남성이 비슷한 느낌이 있다.

 

 하지만 천남성은 맹독성을 가진 독초이다. 여담으로 장희빈의 사약을 만들때도 함유되었다고 전해지는 유명한 독초이다. 소량을 잘 활용하면 약초로도 쓰인다고 하나 약초고수가 아니고서야 엄두도 내면 안 될 일이다. 

 

 또한 천남성은 성전환을 하는 풀로도 유명하다. 보통 식물은 암수가 딴몸인 것이 있고, 한 몸에 암수가 함께인 것이 있다. 그런데 천남성은 암수딴몸인데 어느 시점에서 성전환을 하는가보다.

 

 

 위 사진의 어린 천남성은 언듯보면 진짜 산삼과 비슷하다. 하지만 자세히보면 산삼과 전혀 딴판이다.

 

 

 

 산삼과 가장 햇갈리는 산야초가 바로 위 사진의 '오가피' 이다. 잎이 다섯개로 갈라져나와 이름도 오가피이다. 하지만 산삼이 다년생 풀이라면, 오가피는 '나무'이다. 오가피와 산삼의 가장 큰 차이는 오가피는 나무답게 줄기가 목질로 되어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여느 나무들 처럼 줄기에서 잔가지가 두서없이 뻗어나온다. 한개의 줄기에서 우산살처럼 동시에 줄기가 퍼져나오는 산삼과는 전혀 딴판이다. 하지만 잎의 생김새만은 산삼과 구분이 거의 가지 않는다.

 

 오가피 역시 술이나 장아찌로 담가먹는 쓰임이 좋은 산야초이다.

+ Recent posts